探讨度假村的服务场景对品牌形象、消费者感知价值和满意度的影响 ——以中国三亚亚特兰蒂斯酒店为例

Authors

  • 梅琼奥 韩国世翰大学
  • 张惠媛 苏州信息职业技术学院

DOI:

https://doi.org/10.70693/rwsk.v1i4.882

Keywords:

服务场景, 品牌形象, 感知价值, 满意度

Abstract

现代人从单纯的住宿旅游形态转向健康和休养休闲,喜欢拥有体育、文娱、文化旅游综合设施的度假村,但旅游产业为了满足消费者的需求,也追求娱乐产业的内容和节目多样化。能够体验复合旅游要素的度假村-不仅对地方自治团体的经济发展具有重要的价值和意义,而且在许多国家,复合度假村的开发正在成为吸引海外游客和谋求地区经济发展的手段。根据这种模式的发展趋势,对于消费者的特性和决定过程需要深入去理解,需要找出与消费者需求和要求相适应的营销管理方案。值得一提的是,服务场景在服务行业为顾客提供最大价值与顾客满意有着直接、积极的关系,是旅游企业成功的重要因素。

References

BITNER M J. Servicescapes: The impact of physical surroundings on customers and employees. Journal of Marketing, (1992):56(2).

정경균. 웰니스 관광목적지의 물리적 · 사회적 서비스스케이프가 지각된 가치와 만족 및 행도의도에 미치는 영향. 호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2021.

박민아, 윤세목. 리조트 서비스스케이프, 회복환경지각, 여가만족의 구조적 관계 연구. 관광경영연구, (2018):22(4).

하상도. 리조트 서비스스케이프가 고객만족과 목적지애착 및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국내석사학위논문, 2023.

ZHANG W. 호텔의 서비스스케이프가 고객의 지각된 가치, 만족도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대학원, 국내석사학위논문, 2018.

王长征,寿志钢. 西方品牌形象及其管理理论研究综述. 外国经济与管理, (2007):29(12), 8. DOBNI D , ZINKHAN G M. In search of brand image: A foundation analysis.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1990):17.

이은호. 호텔 서비스스케이프와 브랜드 이미지, 고객가치, 고객만족의 영향관계 연구. 동명대학교 대학원, 국내박사학위논문, 2021.

ZEITHAML V A. Consumer perceptions of price, quality and value: A means-end model and synthesis of evidence, Journal of Marketing (1987):52(3).

고동우·이준원. 수상스포츠클럽의 고객지향성, 지각된가치, 고객만족, 서비스품질 평가 및 재이용의도의 관계.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2009):14(4).

윤병국·김홍길. 한국 전통산사 (山寺) 의 야생차산지 관광테마 개발을 위한 스토리텔링, 관광객의 지각된 가치, 만족, 행동의도 간의 구조적 영향 관계와 매개효과. 유라시아연구, (2018): 15(3).

OLIVER R L. Satisfaction. A Behavioral Perceptive on the Consumer, Singapore: McGraw-Hill, 1997.

KOTLE P. Marketing Management: The Millennium Edition. Person Prentice Hall, Upper Saddle River ,2000.

이예. 서비스케이프와 인적서비스가 만족도 및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신라대학교 일반대학원, 국내석사학위논문, 2019.

Downloads

Published

2025-05-02

How to Cite

梅琼奥, & 张惠媛. (2025). 探讨度假村的服务场景对品牌形象、消费者感知价值和满意度的影响 ——以中国三亚亚特兰蒂斯酒店为例. 人文与社会科学学刊, 1(4), 132–139. https://doi.org/10.70693/rwsk.v1i4.882